미래가치비전연구소 살펴보기 >> (클릭)
창업자들을 만나면서...
성공을 장담하지는 못해도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늘 생각해 왔어요.
성경에...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한다"
는 말씀이 있어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내뱉는 말도 다르고
행동도 달라지는 것 같아요.
사업하시는 분들 만나다 보면
성공했다고 하시는 분들,
성공하고 있는 분들,
실패했다고 하시는 분들,
실패하고 있는 분들,
성공도 실패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에 있는 분들,
아직 시작도 제대로 못하신 분들,
이제 시작하시는 분들...
다양한 분들이 계세요.
그 중에
안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들면서 멈추는 분들도 많은 것 같네요.
저도 종종 그러는 것 같아요.
흔히 이런 사람들을 끈기가 없다고 말하기도 하고,
부정적이라고도 합니다.
사람들은 긍정의 힘을 강조하곤 하죠.
그런데
긍정의 힘 못지 않게,
부정의 힘도 꽤 쓸만해요.
제가 아는 분들 중에
계획을 세워놓고 잘 지키지 못하는 한 분이 계십니다.
그분이 입버릇처럼 말씀 하시느 것이 있었어요.
"저는 끈기가 없어서 꾸준하게 뭘 못해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답했어요.
"부정적인 생각을 너무 나쁘게 여기지 마세요.
안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게 된 것은 좋은 거예요.
다만,
거기서 멈추지 말고
이제 한단계만 더 나가는 마음을 가지면 되겠네요."
즉,
안 될 수밖에 없는 그 이유를 극복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단계로
한걸음 나가면 되는 것이죠.
너무 많은 것을
한번에 하려고 하기 때문에
금방 지치는 것일 수도 있는 것이죠.
그런데 반대로...
무조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들면서 돌진하는 경우도 많아요.
창업하시거나 혹은 예비창업자들 만나보면 이런 성향을 가지신 분들이 대부분이예요.
예전에는
제가 이런 분들 만나면
그분들 창업 아이템에 대한 PMF(Product Market Fit)을 확인하기 위하여
태클을 거는 듯한 도전적인 질문을 하기도 했어요.
※ Product Market Fit(PMF) : 상품이 시장에 제대로 먹히는 상태
그러나 오히려 부작용이 많더군요.
창업자에게 사업 아이템은
자신의 자식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검증을 위한 질문을
공격으로 받아들여
반발만 살 뿐인 것이죠.
그래서
요즘엔 다음과 같은 조언만 해 드립니다.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점검 팁]
1. 목표를 설계한다.
2. 우선, 목표달성에 실패했다고 가정한다.
3. 실패를 하게 된 원인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4. 실패원인을 고려하여 목표설계를 수정한다.
성공을 위한 긍정의 힘 뿐만 아니라
부정의 힘도 살짝~ 이용하는 것이죠.
:)
어때요?
이걸 읽으시는 분들도 한번 활용해 보시죠.
▣ CEO 혹은 팀 전담 코치가 필요하다면 연락 주세요
>> https://cv2lab.com/apply
(다른 글 더 보기)
작은 기업 CEO 코칭
[시리즈] 작은 기업 CEO 코칭 - #01 CEO로 살아남는다는 것
[코칭/멘토링] IT 플랫폼 사업이 만만하게 보이나요?
[교육] 고객중심 마케팅 체계잡기 강의 -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는?
[개발기획] IT 개발이 수반되는 스타트업의 고질적인 문제점
미래가치비전연구소 살펴보기 >> (클릭)
미래가치비전연구소 살펴보기 >> (클릭)
창업자들을 만나면서...
성공을 장담하지는 못해도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늘 생각해 왔어요.
성경에...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한다"
는 말씀이 있어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내뱉는 말도 다르고
행동도 달라지는 것 같아요.
사업하시는 분들 만나다 보면
성공했다고 하시는 분들,
성공하고 있는 분들,
실패했다고 하시는 분들,
실패하고 있는 분들,
성공도 실패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에 있는 분들,
아직 시작도 제대로 못하신 분들,
이제 시작하시는 분들...
다양한 분들이 계세요.
그 중에
안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들면서 멈추는 분들도 많은 것 같네요.
저도 종종 그러는 것 같아요.
흔히 이런 사람들을 끈기가 없다고 말하기도 하고,
부정적이라고도 합니다.
사람들은 긍정의 힘을 강조하곤 하죠.
그런데
긍정의 힘 못지 않게,
부정의 힘도 꽤 쓸만해요.
제가 아는 분들 중에
계획을 세워놓고 잘 지키지 못하는 한 분이 계십니다.
그분이 입버릇처럼 말씀 하시느 것이 있었어요.
"저는 끈기가 없어서 꾸준하게 뭘 못해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답했어요.
"부정적인 생각을 너무 나쁘게 여기지 마세요.
안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게 된 것은 좋은 거예요.
다만,
거기서 멈추지 말고
이제 한단계만 더 나가는 마음을 가지면 되겠네요."
즉,
안 될 수밖에 없는 그 이유를 극복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단계로
한걸음 나가면 되는 것이죠.
너무 많은 것을
한번에 하려고 하기 때문에
금방 지치는 것일 수도 있는 것이죠.
그런데 반대로...
무조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들면서 돌진하는 경우도 많아요.
창업하시거나 혹은 예비창업자들 만나보면 이런 성향을 가지신 분들이 대부분이예요.
예전에는
제가 이런 분들 만나면
그분들 창업 아이템에 대한 PMF(Product Market Fit)을 확인하기 위하여
태클을 거는 듯한 도전적인 질문을 하기도 했어요.
※ Product Market Fit(PMF) : 상품이 시장에 제대로 먹히는 상태
그러나 오히려 부작용이 많더군요.
창업자에게 사업 아이템은
자신의 자식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검증을 위한 질문을
공격으로 받아들여
반발만 살 뿐인 것이죠.
그래서
요즘엔 다음과 같은 조언만 해 드립니다.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점검 팁]
1. 목표를 설계한다.
2. 우선, 목표달성에 실패했다고 가정한다.
3. 실패를 하게 된 원인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4. 실패원인을 고려하여 목표설계를 수정한다.
성공을 위한 긍정의 힘 뿐만 아니라
부정의 힘도 살짝~ 이용하는 것이죠.
:)
어때요?
이걸 읽으시는 분들도 한번 활용해 보시죠.
▣ CEO 혹은 팀 전담 코치가 필요하다면 연락 주세요
>> https://cv2lab.com/apply
(다른 글 더 보기)
작은 기업 CEO 코칭
[시리즈] 작은 기업 CEO 코칭 - #01 CEO로 살아남는다는 것
[코칭/멘토링] IT 플랫폼 사업이 만만하게 보이나요?
[교육] 고객중심 마케팅 체계잡기 강의 -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는?
[개발기획] IT 개발이 수반되는 스타트업의 고질적인 문제점
미래가치비전연구소 살펴보기 >>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