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진 칼럼 - 창업, 경영 그리고 마케팅에 대한 본질을 이야기 합니다


경영일반[시리즈] 작은 기업 CEO 코칭 - #07 CEO 코칭의 유익, 코칭문화가 양성하는 인재

조동진
2023-07-17
조회수 1300

미래가치비전연구소 살펴보기 >> (클릭)


[시리즈] 작은 기업 CEO 코칭


7. CEO 코칭의 유익, 코칭문화가 양성하는 인재


CEO 코칭을 통해 습득된 코칭 스킬 및 방식을 조직문화로 확대할 수 있어요.

CEO가 직접 코칭으로 핵심 리더들의 잠재력을 끌어 올리고, 여러 관점의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서 CEO 수준의 마인드와 생각으로 사업을 하는 인재가 자연스럽게 양성될 것입니다.

이러한 CEO의 코칭을 받은 리더들은 같은 방식으로 조직문화를 이끌어 갈 것이고, 그렇게 되면 결국 전체 조직문화가 Coaching & Playing 방식으로 작동하여 스스로 성장하는 조직으로 업그레이드되겠죠.

이런 Coaching & Playing 방식의 조직문화는 분명히 전통적인 Directing & Acting 조직문화보다는 자발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낼 것입니다.

창업 초기부터 코칭 조직문화를 만들어 놓는 것이 좋아요. 왜냐하면 회사 규모가 커질수록 조직문화는 바꾸기 어려워지기 때문이예요.


[기존 조직문화의 문제점, Directing & Acting]


기존의 Directing & Acting 방식의 조직문화는 의사결정자가 지시하고 실무 담당자가 실행하는 방식이죠. Directing 하는 사람이 주로 깊은 생각을 하고, Acting 하는 사람은 의사결정자의 지시대로 실행하는 데에 집중하게 되지요.

그런데 이런 조직문화의 문제점은 최상위 의사결정자의 업무지시가 Directing 방식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처음 의도와 실무자의 실행 사이에 Gap이 발생한다는 거예요. 그런데 이런 Gap은 잘 줄여지지 않는데, Acting 하는 실무자는 실행하는 방법에만 몰입하고 왜 해야 하는지 질문을 하지 않기 때문이죠. 질문한다고 해도 대부분 대충 설명하고 넘어가는 식입니다.

이러한 Gap 때문에 명확한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게 되어 피드백을 통하여 다시 조정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실제로 기업 현장에서 비일비재하게 목격됩니다.

더 큰 문제는 실무자들의 업무 스킬은 발전할지는 몰라도, 상위 레벨의 의사결정을 위한 기획이나 사고방식을 배울 기회가 적어서 리더십 역량을 확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거예요.

보통 단순히 기술적 성과가 높은 사람을 선발하여,

단기간에 기획 스킬이나 리더십 교육시켜서 승진시키는데,

단기간에 이런 지식을 습득한다고 해서 갑자기 사고 능력이 증가하고 좋은 리더가 될 수 있을까요?


[스스로 성장하는 조직문화 형성, Coaching & Playing]


Coaching & Playing 방식의 조직문화에서는 직원을 단순히 지시받은 대로 행동하는 수동적인 역할로 여기지 않아요. 리더는 업무 목적과 전략을 직원에게 공유하여 직원이 직접 문제해결 방법을 고민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직원의 잠재 능력을 끌어올려 훌륭한 성과를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리더는 직원을 최고의 Player로 성장하도록 Coaching을 하게 되는 거죠.

Coaching & Playing 방식은 처음에는 많은 토론과 설명과정이 필요하여 비효율적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시간이 갈수록 오히려 효율적일 뿐 아니라 일의 완성도와 성과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무엇보다도 리더 입장에서는 팀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니까 좋고, 팀원 입장에서도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일의 의미를 찾고 동기부여가 되어 만족도가 올라가서 좋지요.

조직 전체적으로는 적극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성장하는 조직문화가 된답니다. 결국 자연스럽게 인재양성 문제도 같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직원들은 리더의 코칭을 받으면서 함께 토론하고 소통하며,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끌어 올리고,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결정하는 훈련이 되기 때문에 평소 업무과정에서 리더로서 필요한 요인들이 차근차근 갖춰지게 돼요.

CEO 코칭은 CEO의 역량을 끌어 올리고 복잡한 경영환경에서 다양한 관점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Coaching & Playing 조직문화로 확산하여 스스로 성장하는 역동적인 회사로 발전시키는 출발점이기도 해요.

그래서 CEO 코칭을 적극 추천드리는 것입니다.


CEO가 경영코칭을 받면서 자연스럽게 코칭 스킬을 습득하게 되어,

조직 내에서 핵심 리더를 CEO가 직접 코칭할 수 있게 되고,

리더들의 코칭 역량이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팀과 일을 관리하는 것을 너머,

인재를 양성하는 조직문화가 저절로 형성되는 원리로 작동하게 됩니다.


CEO 코칭에 대한 내용을 처음부터 보려면,

시리즈 #01부터 차근차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시리즈] 작은 기업 CEO 코칭

전체목록 ▼

#01 CEO로 살아남는다는 것 (Click)

#02 사업이 정체되는 진짜 이유 (Click)

#03 CEO 의사결정 유형, 끌려다닐 것인가 아니면 주도할 것인가? (Click)

#04 CEO의 관점이 이익과 손해를 결정한다 (Click)

#05 고정된 관점, 늪에서는 절대 혼자서 못 빠져나온다 (Click)

#06 CEO 코치, 관점을 바꾸는 생각 파트너 (Click)

#07 CEO 코칭의 유익, 코칭문화가 양성하는 인재 (Click)


▣ CEO 혹은 팀 전담 코치가 필요하다면 연락 주세요

  >> https://cv2lab.com/apply



칼럼 전체목록 보기



미래가치비전연구소 살펴보기 >> (클릭)

0 0

BI 설명

심볼(Symbol) 해설


▣ 파란 기둥

도미노를 형상화 한 것으로, 첫 번째 칩을 넘기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넘어가듯이 사업에서는 일머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 네 개의 잔

> 첫 번째 잔 = 미래 : 우리 앞으로 다가오는 세계

> 두 번째 잔 = 가치 : 존재 의미

> 세 번째 잔 = 비전 : 꿈이 현실로 되는 것

> 네 번째 잔 = 연구소 : 끊임없이 생각하고 찾아내는 일을 하는 장소


이 네 개의 잔의 모여

미래에 존재하는 가치가 현실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찾아내는

미래가치비전연구소가 되었습니다.